loading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디프린터2

[뜬금일지] 테스트중인 가칭 코트렉스 테스트 원래 블로그를 통해 자작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업로드해볼 생각이었는데, 역시나 중구난방인 머리속을 정리하는게 쉽지 않다. (언젠가 하긴 하겠지..) 그 중간에 작업을 하는 부분이 있긴 있으니, 중구난방인 머리를 일기처럼 쓰는 [뜬금일지]를 별도록 작성하고자 한다. - 본론- 3d프린터 자작은 꾸준히 ing이다. 큰 생김새의 변경으로 보면 벌써 5번째 버전. 현재 출력 테스트를 열심히 진행중이다. 이전 제품들에 비해 압출을 담당하는 헤드와 레벨링은 많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구조적인 문제로 백래쉬가 심하게 발생하고, tmc2130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하는 tmc2209를 사용하고 있지만, 탈조의 부분도 아직 문제가 발생한다. 탈조의 문제는 영어로 ( layer shift ) 라고 칭한다. 이 부분의.. 2020. 8. 26.
[상상아이디어] 멀티 컬러 3d프린터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3d프린터는 단색에 비교하여 그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라고 생각합니다. - 현재의 문제점으로 제작부터 활용까지가 쉽지 않습니다. -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새로운 생각을 해봅니다. - 다양한 멀티컬러 출력 방법이 있겠지만, 현재 크게 알려진 방법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싱글 노즐 멀티컬러, 다중 노즐 멀티컬러 - 싱글 노즐 멀티컬러의 단점은 서로 다른 색상이 한 곳으로 나오기 때문에, 색이 섞입니다. 그 방법을 해소하기 위해 타워를 뽑습니다. 결과적으로 타워를 뽑는데 시간과 재료 소모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 다중 노즐 멀티컬러의 단점은 하드웨어적인 추가 요소가 많다는 것(배선, 히팅블럭, 히트브레이커 등)과 교체 시 온도 가.. 2020. 7. 2.
728x90
반응형